1. 프로젝트 개요
SKHU VENTURE는 2024-1학기 인공지능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프로젝트입니다. 본 프로젝트는 예비 학생 및 국제학부 신입생들의 원활한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캠퍼스 탐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니다. 특히, 프로젝트의 인공지능 개발 부문은 학사 논문으로 발전되어 관련 학술지에 투고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https://github.com/SKHU-Adventure
SKHU VENTURE
SKHU VENTURE has 4 repositories available. Follow their code on GitHub.
github.com
2. 프로젝트 진행 과정
프로젝트는 2024년 3월부터 교내 경진대회가 개최된 10월까지 약 8개월간 진행되었습니다.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론을 적용했습니다:
- Notion을 활용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
- 명확한 역할 분배를 통한 책임소재 확립
- 지도교수님과의 주간 미팅을 통한 지속적인 피드백 및 진행상황 점검
3. 기술 스택 및 아키텍처
본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은 기술 스택을 활용하여 구현되었습니다:
- Back-end : Spring boot, Gradle, JPA, Java17
- Front-end : Flutter
- AI: Python, PyTorch-lightning
- Other : Notion, Figma
4. 담당업무
프로젝트에서 FrontEnd와 AI개발을 주도적으로 담당했습니다.
- Flutter 기반의 전반적인 FrontEnd개발
- 인공지능 모델 설계 및 구현
5. 주요 인사이트
1) 명확한 목적 설정의 중요성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모호한 목표 설정으로 인해, 개발 후반부에 기능과 목적을 재조정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시작 단계에서의 명확한 요구사항 정의와 구체적인 기능 명세의 중요성을 체득했습니다.
2) UI/UX 설계의 중요성
Frontend 개발 과정에서 Figma를 활용한 사전 UI 설계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시각적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개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체계적인 디자인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식했습니다.
3) 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Backend와 Frontend 연동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들(데이터 구조 불일치, 변수명 불일치 등)을 통해 팀원 간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체감했습니다. 특히 로그인 기능 구현 시 발생한 통합 이슈는 초기 단계에서의 명확한 인터페이스 설계와 정기적인 진행상황 공유의 필요성을 각인시켰습니다.
4) AI 모델 개발에서의 데이터 품질 중요성
AI 모델 개발 과정에서 학교 건물 이미지 데이터셋 구축의 중요성을 경험했습니다. 데이터의 수집부터 전처리, 레이블링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일관된 기준과 논리적 타당성의 중요성을 인식했으며, 이는 AI 모델의 성능과 직결되는 핵심 요소임을 확인했습니다.
6. 프로젝트 성과
가장 큰 성과는 크게 두가지 입니다.
1. 교내 경진대회 은상 수상
2. 논문 투고
논문 같은 경우에는 교수님이 자랑을 하시고 싶으셨던건지... 홈페이지에도 기재됬다 좀 부끄럽긴 하지만ㅎㅎ
7. 마치며
캡스톤 디자인 과목으로 시작된 프로젝트 였는데 더 나아가 논문 투고와 교내 시상까지 할 수 있어서 뿌듯한 프로젝트였다.
부족한 점이 많은 프로젝트 였지만, 지도교수님의 격려와 도움으로 이렇게 끝까지 완수 할 수 있었던것 같다.
개발자로서도, 또 한 학생으로서도 배우고 얻어가는점이 많은 활동이였다.
'✨Data Science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Winter] 2주차 기록 (0) | 2025.01.21 |
---|---|
[2024 Winter] 1주차 기록 (0) | 2025.01.14 |
SKHU-AI-2024-WINTER 프로젝트 (0) | 2025.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