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ll

1. 컴파일러(compiler) VS 인터프리터(interpreter) - 컴파일러(compiler) 컴파일러는 고급 프로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 할 수 있는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스코드의 분석, 최적화, 그리고 기계어 코드 생성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컴파일 과정이 완료된 후, 생성된 기계어 코드(실행파일)은 저장되어 언제든지 실행 될 수 있다. 📌 컴파일러의 주요 기능 ① 소스 코드 분석: 컴파일러는 먼저 소스코드를 읽고 구문을 분석하여 코드의 구조를 이해한다. 이 과정에서 컴파일러는 코드내의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요소와 그 관계를 파악한다. ② 최적화:컴파일러는 코..
Java를 배우다보면 Scanner라는 입력 방식을 배우게된다. Scanner 말고도 BufferedReader라는 입출력 방식이 있는데 BufferdReader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BufferdReader :Scanner과 유사하다. Bufferedwriter :System.out.println();과 유사하다. BufferdReader 사용법 BufferedReader bf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선언 String s = bf.readLine(); //String int i = Integer.parseInt(bf.readLine()); //Int readLine(): 데이터 라인 단위로 읽기 가능 Scanner처럼 공백..
기본작업과정 1. 저장소 생성 2. 파일 생성 / 추가 3. 파일 수정 4. 수정 내역을 저장소에 제출 목표 명령어 설명 저장소 생성 git init 실행한 위치를 Git 저장소로 초기 저장소에 파일 추가 git add 파일이름 해당 파일을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저장소에 추가 저장소에 수정 내역 제출 git commit 변경된 파일을 저장소에 출력 저장소 상태 확인 = git status 현재 저장소 의 상태를 출력 1. 저장소 생성 mkdir : 디렉토리 만들기 cd : 디렉토리로 이동 git init : 저장소 초기화 2. 첫 커밋: 파일 생성 start notepad test.txt : txt 파일 만들기 cat test.txt : txt 파일 확인 git status : 저장소 상태 확인 -..
내 한계는 여기까지였다... 짧게 코드 쓰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잘 안됨 다시 풀고 생각정리한거 기록용으로 작성한다. def solution(n): list = [] n = str(n) for i in n: list.append(i) list.sort(reverse=True) result = ''.join(list) return int(result) 1. 빈리스트 만들기 2. int 타입 n을 str로 바꾸고 다시 n에 대입 3. for 문으로 빈 리스트에 하나씩 대입하기 4. 리스트가지고 정렬 5. 리스트에 있는걸 다시 join을 이용하여 str로 바꿔주기 6. 마지막 출력은 int형으로 => 한번에 할 수 있는 코드를 좀 돌아서 짠거 같기도 def solution(n): new_list = list(s..
프로그래머스 풀다가 join 쓰는 방법이 있길래 몰랐던 내용이여서 이김에 join함수를 정리해보았다. 파이썬의 join()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의 iterable 객체를 하나의 문자열로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join()함수는 문자열(str)의 메서드로 제공하며 "구분자".join(리스트 또는 튜플 또는 문자열) 형식으로 사용한다. - "구분자": 이어지는 요소들 사이에 삽입될 문자열을 의미한다. (생략 가능) 생략한다면 기본값으로 빈 문자열(")이 사용된다. join()함수는 파이썬에서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의 iterable 객체를 다룰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my_list = ['apple', 'banana', 'orange'] result_str = ', '.join(my_l..
kiwiio_v
'🗡️Skill' 카테고리의 글 목록